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입문자를 위한 믹싱 순서 가이드

믹싱기초

by INGSPR 2023. 9. 23. 15:59

본문

반응형

  1. 믹싱할 곡의 악기별 트랙별 녹음이 되어있는지 점검
  2. 트랙 순서 정하기 
  3. 다음에 베이스를 두는 것이 믹싱을 편하게 있는 하나의 (킥과 베이스의 위상 점검 음악의 중심이 되는 베이스를 가장 먼저 잡아주면 좋다)
  4. 버스로 묶어주기 : 드럼 , 일렉기타, 보컬, 기타악기, 등등으로 버스로 묶어주면 믹싱의 퀄리티를 높여 있다
  5. 패닝을 정리 : 드럼 믹싱의 패닝은 드러머 입장에서 하느냐 청중 입장에서 하느냐에 따라 패닝을 주의해야 한다.
  6. 위상점검 : 위상에 대한 내용은 믹싱아트 게시 사진 게시물을 찾아보면 나와있습니다. 
  7. Head Room 확보 : 트랙의 볼륨이 최대 피크 대비 최소 20% 여유를 두고 작업한다. 2Mix 나머지 부족한 음압은 마스터링에서 보강해 주어야 한다.
  8. 1 믹싱으로 트랙의 컴프레서 이큐 작업을 한다. 
  9. 컴프레서를 알아야만 원하는 사운드로 믹싱을 수가 있다.
  10. 이큐 또한 알아야 하지만 부분은 귀가 훈련되어 있어야 하며 악기의 사운드가 어떤 소리가 나야 좋은지에 대한 많은 연구와 경험이 있어야 좋은 사운드를 만들 있다. 경험이 없다면 레퍼런스 음원을 충분히 참고한다.
  11. 컴프를 걸고 이큐를 거는 경우도 있고 이큐를 먼저 걸고 컴프를 거는 경우도 있다. 필자는 거의 컴프를 먼저 거는 편이지만 보컬의 경우 로우컷을 먼저 컴프를 거는 편이다.
  12. 공간계 이펙터도 정교하게 걸어야 한다. 역시 다양한 테크닉이 존재함으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13. Saturation : 세츄레시연 계열의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사운드의 부족함을 채워준다. 세츄레이션은 초보자 들에게 생소한 단어일 것이다. 이것의 뜻은포화상태이다. 사운드는 일그러 지려는 순간에 배음이 발생하여 포화상태가 되어 좋은 사운드가 만들어 진다. 이것을 도와주는 플러그인들이 여럿 존재한다. 
  14. Automation : 오토메이션으로 믹싱의 완성도를 높인다.
  15. Mastering : 모든 트랙 작업이 완성되고 밸런스를 맞추어 마음에 드는 믹싱이 완선되었다면, 마스터링으로 부족한 믹싱을 보완 향상시키고 피크가 뜨지 않도록 음압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향상시켜 준다.

믹싱아트에 믹싱 의뢰는 아래 링크 참고해 주세요^^

의뢰하기

 

 

근접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반응형

'믹싱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X 와 BUX  (0) 2023.10.22
마스터링이란?  (0) 2023.09.19
백그라운드 보걸 믹싱 가이드  (0) 2023.07.04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믹싱 팁  (0) 2023.07.02
초보자 분들을 위한 보컬믹싱 가이드 2023  (0) 2023.07.01

관련글 더보기